ai-creator

[머신러닝 기초] 지도학습 - 데이터 전처리 (one-hot encoding, label encoding, Standardization, Normalization) 본문

데이터 분석/왕초보를 위한 머신러닝

[머신러닝 기초] 지도학습 - 데이터 전처리 (one-hot encoding, label encoding, Standardization, Normalization)

ai-creator 2021. 9. 24. 17:13
반응형

이전 포스팅에서 2가지를 언급했다.

1) 머신러닝이란? (Link

input ---->  [ 패턴인식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]   ----> output

2) 머신러닝을 도와줄 python 패키지

: Scikit-learn

 

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앞서 해야할 일은 input 가공하는 일이라고 했으며, 

학습/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분리 및 이에 맞춘 Sklearn API 사용법과 예시를 알아보았다. (Link)

 

이번장에서는 '기계'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가공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

 

ㅁ 데이터 인코딩 (data encoding)

컴퓨터가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이터의 표현이 '숫자'형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.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,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'숫자'로 표현하기를 원한다.

예를 들면, TV, 냉장고, 컴퓨터 (문자형) -> 1, 2, 3 (숫자형) 으로 말이다.

이렇게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.

1) 레이블 인코딩 (label encoding)

2) 원-핫 인코딩 (one-hot encoding)

 

1) 레이블 인코딩 (label encoding)

의미

레이블인코딩은 카테고리 피처를 숫자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.

TV, 냉장고, 컴퓨터 (문자형) -> 1, 2, 3 (숫자형)

숫자형이므로 수의 크기가 알고리즘에 작용하여 성능 저하가 될 수 있으니, 주의 해야 한다.

 

Sklearn API

이를 위해 sklearn에서는 API를 지원한다.

목적 import API
레이블 인코딩 from sklearn.preprocessing import LabelEncoder LabelEncoder()

코드에서 보면, 

from sklearn.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

items=['TV','냉장고','전자렌지','컴퓨터','선풍기','선풍기','믹서','믹서']

# LabelEncoder를 객체로 생성한 후 , fit( ) 과 transform( ) 으로 label 인코딩 수행. 
encoder = LabelEncoder()
encoder.fit(items)
labels = encoder.transform(items)
print('인코딩 변환값:',labels)

코드 수행 결과

인코딩 변환값: [0 1 4 5 3 3 2 2]

2) 원-핫 인코딩 (one-hot encoding)

의미

레이블 인코딩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, 각 카테고리를  input feature로 구성되는 방법이다. 값은 해당하는 칼럼에만 1, 나머지 칼럼에는 0을 표시하게 된다.

Sklearn API

이를 위해 sklearn에서는 API를 지원한다.

목적 import API
원-핫 인코딩 from sklearn.preprocessing import OneHotEncoder OneHotEncoder()

코드에서 보면, 

from sklearn.preprocessing import OneHotEncoder
import numpy as np

items=['TV','냉장고','전자렌지','컴퓨터','선풍기','선풍기','믹서','믹서']

# 먼저 숫자값으로 변환을 위해 LabelEncoder로 변환합니다. 
encoder = LabelEncoder()
encoder.fit(items)
labels = encoder.transform(items)
#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합니다. 
labels = labels.reshape(-1,1)

# 원-핫 인코딩을 적용합니다. 
oh_encoder = OneHotEncoder()
oh_encoder.fit(labels)
oh_labels = oh_encoder.transform(labels)
print('원-핫 인코딩 데이터')
print(oh_labels.toarray())
print('원-핫 인코딩 데이터 차원')
print(oh_labels.shape)

코드 수행 결과

원-핫 인코딩 데이터
[[1. 0. 0. 0. 0. 0.]
 [0. 1. 0. 0. 0. 0.]
 [0. 0. 0. 0. 1. 0.]
 [0. 0. 0. 0. 0. 1.]
 [0. 0. 0. 1. 0. 0.]
 [0. 0. 0. 1. 0. 0.]
 [0. 0. 1. 0. 0. 0.]
 [0. 0. 1. 0. 0. 0.]]
원-핫 인코딩 데이터 차원
(8, 6)

원-핫 인코딩에 있어 sklearn API의 단점은 반드시 label encoding을 통해 숫자형으로 변환한 후 one-hot encoding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. 하여, 동일한 동작을 하는 pandas 라이브러리를 더 많이 사용한다.

import pandas as pd

df = pd.DataFrame({'item':['TV','냉장고','전자렌지','컴퓨터','선풍기','선풍기','믹서','믹서'] })
pd.get_dummies(df)

코드 수행 결과

 

 

ㅁ 피쳐 스케일링

피처 스케일링(feature scaling)이란? 서로 다른 변수의 값 범위를 일정한 수준으로 맞추는 작업을 의미한다. 

표준화(standardization)와 정규화(Normalization)가 있으며, 각 의미는 아래와 같다.

1) 표준화 : 데이터의 피처 각각이 평균이 0이고, 분산이 1인 표준 정규 분포(standard normal distribution)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

2) 정규화 : 서로 다른 피처의 크기를 통일하기 위해 그 크기를 변환해 주는 개념

1) 표준화(Standardization)

의미

데이터의 피처 각각이 평균이 0이고, 분산이 1인 표준 정규 분포(standard normal distribution)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.

출처 : 위키피디아

 

평균이 0이고, 분산이 1인 정규분포(normal distribution)를 표준 정규 분포(standard normal distribution)라고 칭한다.

 

특정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분포를 가정한 경우가 있다. 서포트 벡터 머신, 선형 회귀, 로지스틱 회귀 등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하고 있어, 데이터를 표준화시켜 예측 성능 향상시킬 수 있다.

Sklearn API

이를 위해 sklearn에서는 API를 지원한다.

목적 import API
표준화 from sklearn.preprocessing import StandardScaler StandardScaler()

코드에서 보면, 

from sklearn.datasets import load_iris
import pandas as pd
# 붓꽃 데이터 셋을 로딩하고 DataFrame으로 변환합니다. 
iris = load_iris()
iris_data = iris.data
iris_df = pd.DataFrame(data=iris_data, columns=iris.feature_names)

print('feature 들의 평균 값')
print(iris_df.mean())
print('\nfeature 들의 분산 값')
print(iris_df.var())
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from sklearn.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

# StandardScaler객체 생성
scaler = StandardScaler()
# StandardScaler 로 데이터 셋 변환. fit( ) 과 transform( ) 호출.  
scaler.fit(iris_df)
iris_scaled = scaler.transform(iris_df)

#transform( )시 scale 변환된 데이터 셋이 numpy ndarry로 반환되어 이를 DataFrame으로 변환
iris_df_scaled = pd.DataFrame(data=iris_scaled, columns=iris.feature_names)
print('feature 들의 평균 값')
print(iris_df_scaled.mean())
print('\nfeature 들의 분산 값')
print(iris_df_scaled.var())

코드 수행 결과

feature 들의 평균 값
sepal length (cm)    5.843333
sepal width (cm)     3.054000
petal length (cm)    3.758667
petal width (cm)     1.198667
dtype: float64

feature 들의 분산 값
sepal length (cm)    0.685694
sepal width (cm)     0.188004
petal length (cm)    3.113179
petal width (cm)     0.582414
dtype: float64

feature 들의 평균 값
sepal length (cm)   -1.690315e-15
sepal width (cm)    -1.637024e-15
petal length (cm)   -1.482518e-15
petal width (cm)    -1.623146e-15
dtype: float64

feature 들의 분산 값
sepal length (cm)    1.006711
sepal width (cm)     1.006711
petal length (cm)    1.006711
petal width (cm)     1.006711
dtype: float64

feature들의 평균과 분산값이 0, 1로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.

 

2) 정규화(Normalization)

의미

서로 다른 피처의 크기를 통일하기 위해 그 크기를 변환해 주는 개념이다.

예를 들어 피처A는 거리를, 피처B는 금액을 나타낼때, 모두 동일한 크기 단위로 비교하기 위해 값을 모두 0~1 또는 -1~1의 범위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다.

 

다양한 정규화 방법이 있으며, 여기서는 Min/Max Scaler만 언급하겠다.

Sklearn API

이를 위해 sklearn에서는 API를 지원한다.

목적 import API
min/max 정규화 from sklearn.preprocessing import MinMaxScaler MinMaxScaler()

코드에서 보면, 

from sklearn.preprocessing import MinMaxScaler

# MinMaxScaler객체 생성
scaler = MinMaxScaler()
# MinMaxScaler 로 데이터 셋 변환. fit() 과 transform() 호출.  
scaler.fit(iris_df)
iris_scaled = scaler.transform(iris_df)

# transform()시 scale 변환된 데이터 셋이 numpy ndarry로 반환되어 이를 DataFrame으로 변환
iris_df_scaled = pd.DataFrame(data=iris_scaled, columns=iris.feature_names)
print('feature들의 최소 값')
print(iris_df_scaled.min())
print('\nfeature들의 최대 값')
print(iris_df_scaled.max())

코드 수행 결과

feature들의 최소 값
sepal length (cm)    0.0
sepal width (cm)     0.0
petal length (cm)    0.0
petal width (cm)     0.0
dtype: float64

feature들의 최대 값
sepal length (cm)    1.0
sepal width (cm)     1.0
petal length (cm)    1.0
petal width (cm)     1.0
dtype: float64

모든 feature의 값들의 최소~최대 범위가 0~1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.

 

이번장에서는 "'기계'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가공법"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
- 카테고리형 변수를 숫자형으로 변경해주는 encoding 방법이 있었고

label encoding, one-hot encoding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
- 데이터의 분포와 범위를 일정 수준으로 맞추는 피처스케일링이 있었고

표준화, 정규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
 

다음장에서는 지도학습을 '평가'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

 

ㅁ 추가학습

아래 블로그에서 목표로 잡았던, ' titanic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여부를 예측하는 코드를 이해'해 본다.

https://ai-creator.tistory.com/574?category=875603 

 

[머신러닝 기초] 지도학습 - 맛보기 (w/사이킷런)

최종 목표 지도학습에서 최종목표는 titanic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여부를 예측하는 코드를 이해하는 것이다. 코드 이해에 있어 - 지도학습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를 이해한다. - 프로세스의 각

ai-creator.tistory.com

ㅁ Reference

- [책]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가이드

- [블로그]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가이드 정리본 (Link)

- [소스코드 출처] https://github.com/wikibook/pymldg-rev

반응형
Comments